기술블로그-Flask편

API에 대한 이해

Chansman 2025. 4. 18. 14:12

API에 대한 이해

  1.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하는 행위 → "API 요청":
    • API 요청클라이언트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행위입니다.
    • 이 요청은 서버의 API 규격에 맞춰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 API를 사용하여 친구 목록을 가져오는 요청을 보내면, 클라이언트가 GET /v1/friends 요청을 보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실제 API는 서버에 구현된 코드:
    • **API 자체는 "규격"**으로, 서버는 이 규격에 맞춰 API를 구현한 실제 서버 코드가 존재합니다.
    • 예를 들어, 카카오톡 API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요청서버 코드가 처리하고, 데이터를 반환하는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입니다.

정리해보면:

  1. API 요청: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이 작업을 해달라"고 요청하는 행위입니다. 이 요청을 API 요청이라고 합니다. (예: GET /v1/friends)
  2. 실제 API: 카카오톡 서버어떤 서버에서 그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내는 코드입니다. API 문서에 정의된 규격에 맞춰서 실제 작업을 하는 코드가 서버에 존재합니다.

쉽게 말해서:

  • 클라이언트의 요청API 요청이라고 하며, 이는 API 규격에 맞는 요청입니다.
  • 서버의 구현API 코드로, 서버는 그 규격에 맞는 동작을 실제로 구현하는 코드입니다.

예시: 카카오톡 API

  • 클라이언트 (앱/웹): "친구 목록을 주세요"라는 요청을 보내는 API 요청입니다. 예를 들어, GET /v1/friends.
  • 서버 (카카오톡 서버):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친구 목록을 조회하고 그 결과를 JSON 형식으로 반환하는 API 코드입니다.

결론:

  • API 요청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행위입니다.
  • API서버에 구현된 코드로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실제 서버 동작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