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및 DBMS 개념 퀴즈
이번 포스트에서는 SQL과 DBMS 관련된 문제를 풀어보면서 핵심 개념들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각 문제의 답과 설명을 함께 제공하며, 이해를 돕기 위한 시각적 예시도 포함했습니다.
[문제1]
DBMS 특징이 아닌 것을 골라주세요
- 데이터 무결성
- 데이터 보안성
- 데이터 일관성
- 데이터 의존성
정답: 데이터 의존성
설명: DBMS에서의 특징적인 요소는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보안성, 데이터 일관성입니다. 반면, 데이터 의존성은 DBMS가 해결하려는 문제 중 하나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간의 의존성을 줄이는 것입니다. 데이터 의존성은 DBMS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입니다.
[문제2]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데이터 모델을 골라주세요
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합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 중 하나이며 RDBMS에서 지원합니다.
- 관계형 데이터 모델
- 객체 지향형 데이터 모델
- 계층형 데이터 모델
-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정답: 관계형 데이터 모델
설명: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RDBMS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로, 데이터가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에 저장됩니다.
예시:
[문제3]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것을 골라주세요
- 인덱스
- 트랜잭션
- 스키마
- SQL
정답: 스키마
설명: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부분입니다. 테이블, 열,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적 설계를 명확히 합니다.
예시:
스키마 정의 예시
[문제4]
RDBMS의 대표적인 단점이 아닌 것을 골라주세요
-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어려움
- 운영 비용이 비쌈
- 테이블 join의 복잡성
- 미리 만들어진 스키마 구조를 변경 또는 확장하는데 어려움
-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게 어려움
정답: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게 어려움
설명: RDBMS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에서 제한이 있지만,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어려움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어려움, 스키마 변경의 어려움 등이 주요 단점입니다.
[문제5]
RDBMS의 구성 요소 중 고유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골라주세요
- column
- row
- FK
- PK
정답: PK
설명: PK(Primary Key)는 테이블에서 고유한 값을 가지는 컬럼입니다. PK는 각 행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문제6]
대표적인 RDBMS가 아닌 것을 골라주세요
- SQLite
- Oracle Database
- PostgreSQL
- Firebase
정답: Firebase
설명: Firebase는 NoSQL 데이터베이스로, SQL을 사용하지 않고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반면, SQLite, Oracle Database, PostgreSQL은 모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입니다.
예시:
Firebase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강점이 있는 시스템입니다. Firebase Realtime Database는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합니다.
[문제7]
물리적 스키마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골라주세요
- 데이터베이스 논리적 구조
- 데이터베이스 물리적 저장 방식
-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뷰
- 데이터베이스의 엑세스 권한
정답: 데이터베이스 물리적 저장 방식
설명: 물리적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가 디스크에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지 정의하는 방식입니다. 논리적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적인 설계를 나타냅니다.
[문제8]
SQL 언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골라주세요
- 데이터 처리 언어(DML)
- 데이터 제어 언어(DCL)
- 데이터 연결 언어(DCL)
- 데이터 정의 언어(DDL)
정답: 데이터 연결 언어(DCL)
설명: DCL은 Data Control Language로, 권한 제어와 관련된 명령어로 GRANT, REVOKE 등이 포함됩니다. "데이터 연결 언어"는 SQL에서 사용되는 공식 용어가 아닙니다.
[문제9]
데이터 처리 언어(DML)의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골라주세요
- select :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
- insert : 새로운 데이터를 테이블에 삽입
- count : 테이블의 데이터 개수 확인
- delete :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삭제
정답: count
설명: COUNT는 함수로, 데이터 개수를 구하는 데 사용되며 DML 명령어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DML 명령어는 SELECT, INSERT, UPDATE, DELETE와 같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입니다.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데이터베이스 (문제풀이 3일차) (0) | 2025.03.20 |
---|---|
Database- 데이터베이스 (문제풀이 2일차) (0) | 2025.03.19 |
🧑💻 PYTHON - 변수 (문제풀이 7일차) (0) | 2025.03.17 |
PYTHON - 변수 (문제풀이 1일차) (0) | 2025.03.17 |
PYTHON - 자료형과 연산자 (문제풀이 2일차)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