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lask 웹 개발 환경 설정 및 기본 기능 구현 강의
이 강의에서는 Flask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웹 개발 환경을 설정하고, 기본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가상 환경 설정을 통해 프로젝트 간의 종속성 충돌을 방지하고, Flask의 기본 구조와 MVC/MVT 패턴을 소개합니다. 또한, 디버그 모드를 활성화하여 실시간으로 코드 변경을 반영할 수 있게 하며,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이 강의를 통해 Flask를 활용한 웹 개발의 기본적인 토대를 다질 수 있습니다.
🛠️ 가상 환경의 중요성과 설정 방법
1.1. 가상 환경 설정의 중요성
Flask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가상 환경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최신 버전의 파이썬과 Flask를 사용할 때, 해당 버전이 프로젝트에 적합한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프로젝트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다르기 때문에, 가상 환경을 설정하면 다른 프로젝트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젝트에 맞는 안정적인 버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여 다른 프로젝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 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하고, 다른 프로젝트와의 종속성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1.2. 가상 환경 설정 방법
- Mac에서는 VMV 명령어로 간단하게 가상 환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Windows에서는 파워셸 정책을 변경해야만 가상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 가상 환경을 만들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VMV이고, 이 명령어 뒤에는 가상 환경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flask_10이라는 이름을 가진 가상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서 VS Code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더 효율적입니다.
1.3. 가상 환경(VMV) 설정 및 관리
가상 환경을 설정하면, 해당 폴더 내에서만 라이브러리들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관리됩니다. 가상 환경을 활성화하려면 activate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해당 환경에서만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활성화된 환경은 명령어 프롬프트에 가상 환경의 이름이 표시되므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을 마친 후, deactivate 명령어로 가상 환경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1.4. Flask 설치와 보안 기능
가상 환경을 활성화하고 나면, Flask를 설치하여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Flask와 함께 설치되는 라이브러리들 중에는 보안 기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젝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1.5. 웹 서버 요청의 기본 이해
웹 서버에서 사용자는 URL을 통해 요청을 보냅니다. 이 요청은 서버에서 HTML, CSS,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받아서 사용자에게 반환하는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Flask와 같은 웹 프레임워크는 이 과정을 보다 쉽게 관리하고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 플라스크와 동적 웹 요청 처리
2.1. 정적 vs 동적 웹 페이지
정적인 웹 페이지는 동일한 내용을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페이지는 서버에서 처리되지 않고, 엔진엑스와 같은 웹 서버가 직접 처리합니다. 그러나 동적인 웹 페이지는 각 사용자의 정보나 요청에 맞게 변하는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므로, Flask와 같은 프레임워크가 필수적입니다.
2.2. 동적 요청 처리
동적 요청이 들어오면, Flask는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이 과정에서 미들웨어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가 요청을 받아 파이썬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여 반환합니다. 동적인 웹 페이지는 웹 서버를 통해 처리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 플라스크 설치 및 환경 설정 개요
3.1. 플라스크 기본 설치
Flask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보안, 웹 인터페이스, 템플릿 렌더링 등을 지원하는 패키지가 최소한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빠르고 간편하게 웹 서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기본적인 템플릿을 사용하여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3.2. 프론트와 백엔드 서버
Flask에서 프론트 서버와 백엔드 서버는 서로 다른 역할을 합니다. 프론트 서버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백엔드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하고, 웹 페이지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 두 서버 간의 역할 분담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3.3. AWS 클라우드 서비스
Flask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하려면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서버를 설정하고, 우분투와 같은 운영 체제를 설치한 후 개발 환경을 구성해야 합니다. Flask를 설치한 후, 데이터베이스와 보안 설정을 완료하여 실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MVT 구조와 개발 순서
4.1. MVT (Model-View-Template) 구조
Flask는 MVC (Model-View-Controller)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MVT (Model-View-Template) 구조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Controller 역할을 하는 것이 View로 대체되며, 템플릿을 통해 HTML, CSS,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처리합니다. 이 구조는 Flask에서의 개발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줍니다.
4.2. 개발 순서
Flask 프로젝트의 개발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로젝트 뼈대 설정: 프로젝트와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디렉토리와 파일을 생성합니다.
- 모델 코딩: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그 관계를 정의합니다.
- URL 및 뷰 매핑: URL과 뷰를 연결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구현합니다.
- 템플릿 코딩: 프론트엔드 작업을 진행하고,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구현합니다.
이 순서를 통해 프로젝트의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팀원 간의 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플라스크 프로젝트 설정 및 기본 코드 작성
5.1. 플라스크 프로젝트 디렉토리 설정하기
프로젝트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팀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이 디렉토리 안에서 앱 폴더를 생성하고, 그 안에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폴더를 생성합니다. Flask는 여러 개의 프로젝트를 하나의 인스턴스로 관리할 수 있어, 필요한 프로젝트를 언제든지 불러와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5.2. 플라스크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
Flask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려면, 먼저 app.py 파일을 생성하고, Flask 객체를 사용하여 라우팅을 설정합니다. 라우팅은 URL과 함수의 매핑을 통해 요청을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보며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5.3. 디버그 모드의 중요성
디버그 모드는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코드 변경 사항을 반영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개발 과정에서 디버그 모드를 활성화하면 변경된 코드가 즉시 반영되므로, 빠른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보안상 실제 서비스에서는 디버그 모드를 끄고 운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Flask 요청 처리 이해하기 특강 with 파머강사 (0) | 2025.04.22 |
---|---|
2-2 Flask 요청 처리 이해하기 특강 with 파머강사 (0) | 2025.04.22 |
1-2 Flask 특강 프레임워크와 개발 방향성: Flask, Django, FastAPI with 파머강사 (0) | 2025.04.21 |
1-1 Flask 특강 동기부여 with 파머강사 (0) | 2025.04.21 |
HTML/CSS/JAVASCRIPT- 윤도 강사님 강의(250401)(3/3) (0) | 2025.04.01 |